728x90 목록245 이중 for문(1) 결과) 1 1 1 1 1 1 1 1 1 1 과 같은 결과값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램을 이중 for문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for(int i=0; i 2012. 4. 25. 이중 for문 #이중 for은 이중 반복문, 중첩 반복문, 중첩 for문, 다중 for문 등으로 명명된다. *이중 for문의 형식 for(초기화; 조건; 증감){ 문장 1; for(초기화; 조건; 증감){ 문장 2; } 문장3; } 바깥 for문이 첫 번째 조건을 실행 할 때에 안쪽 for문은 모든 조건을 실행한다. 이중 for문의 실행 횟수 = 바깥 for문 횟수 * 안쪽 for문 횟수 2차 배열 및 구구단 등을 만들 때 사용되어 지며, 특히 2차 3차 배열에서 자주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해야한다. 2012. 4. 25. shift -> (2) # 변수를 두 개를 선언하지 않고서 배열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정렬된 숫자를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(0번째는 1) int[] arr={3,7,5,3,4,6,9}; for(int i=arr.length-1; i>0; i--){ // 뒤에서부터 하나씩 땡긴다. arr[i]=arr[i-1]; } arr[0]=1; for(int i=0; i 2012. 4. 25. 피보나치수열(2) #첫 번째와 달리 변수 i의 값을 초기 2의 값을 주어 코딩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피보나치수열 int[] arr= new int[10]; arr[0]=1; arr[1]=1; for(int i=2; i 2012. 4. 25. 블레이드&소울 3차 CBT 모집 블레이드앤소울의 3차 CBT모집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... 모집기간: 4/21 ~ 4/28까지 공식 홈페이지: http://bns.plaync.co.kr 2012. 4. 24. 배열을 shit-> #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이동하여 출력 (0번째는 1)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정렬된 숫자를 오른쪽으로 한칸씩 이동(0번째는 1) int[] arr={3,7,5,3,4,6,9}; int a=1; int temp; for(int i=0; i 2012. 4. 24. 이전 1 ··· 29 30 31 32 33 34 35 ··· 41 다음 SMALL